아이의 발달 과정에서 놀이는 다양한 형태로 관찰됩니다. 아이들마다 놀이에 개인적인 취향이 있긴 하지만 건강한 발달 과정에서는 다양한 놀이 형태가 관찰돼야 하며, 또래에 비해 유난히 한 가지의 놀이에만 집착하거나 다른 놀이에 전혀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면 발달 상의 문제를 고려해 봐야 합니다. 

ⓒ픽사베이

 

최초의 사회적인 놀이들

놀이는 사회적인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영아기의 사회적 놀이는 ‘까꿍 놀이’가 대표적입니다. 보호자가 까꿍 놀이를 시도할 때 아이들은 보호자와 눈을 맞추고 표정의 변화를 살피며 미소를 보이게 됩니다. 보호자가 까꿍 놀이를 멈췄을 때는 다음 행동을 예측하며 기대하는 표정을 보이고, 다시 놀이가 시작될 때까지 주의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저 재미있는 소리나 표정을 보고 반응하는 것으로 여길 수 있지만 까꿍 놀이에 참여하는 것은 중요한 사회적 능력입니다. 까꿍 놀이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사회적인 단서에 관심을 가질 수 있어야 하며, 정서적인 교류도 가능해야 합니다. 

아이가 눈을 잘 마주치지 않아 까꿍 놀이를 시도하기 어렵거나 우연히 눈을 마주쳐서 까꿍 놀이를 시도하더라도 무관심하고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면, 혹은 어떨 때는 반응을 보이고 어떨 때는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면 사회적 능력의 손상을 반영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기능적인 놀이

영아기에서 걸음마기 아이들은 놀잇감에 흥미를 보이기 시작합니다. 버튼을 누르면 소리가 나거나 반짝반짝 빛이 나는 것, 바퀴가 달려 앞뒤로 굴리거나 끌고 다닐 수 있는 것, 폭신폭신한 인형이나 그림책 등 여러 가지 놀잇감을 탐색하고 조작하려는 시도를 보입니다. 지속하는 시간이 길지는 않더라도 여러 가지에 흥미를 보이고 재미있게 갖고 놉니다. 

연령에 적절한 놀잇감에 흥미가 없고 기능을 조작해 보려는 시도를 거의 보이지 않는다면 발달 상에 문제를 시사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모방 놀이

영아기에서 걸음마기 시기에는 모방 행동을 보입니다. ‘도리도리’, ‘잼잼’과 같이 간단한 행동을 했을 때 즉각 모방을 할 수 있어야 하며, ‘코코코’ 놀이와 같이 부모의 행동을 따라 하는 놀이에 흥미를 갖고 참여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 일상생활에서 부모의 행동을 따라 하는 ‘모방 놀이’도 보이게 되는데, 단순하게 그 자리에서 모방하는 것을 떠나서 청소하는 척하기, 화장하는 척하기, 운전하는 척하기, 면도하는 척하기, 컴퓨터로 일하는 척하기 등 평소 보호자가 했던 행동을 따라 하면서 놀이하는 모습이 관찰됩니다.

이때 보호자가 지금 그 행위를 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모방하는 놀이를 보이는지, 여러 가지 행동을 폭넓게 모방하는지 관찰해봐야 합니다. 또한 실제로 보호자가 사용하는 물건 외에도 자신의 놀잇감으로 모방 놀이를 하는지도 살펴야 하는데, 예를 들어 블록을 화장품인 것처럼 사용하고, 나무 막대를 청소기인 것처럼 사용하는 것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상징 놀이

유아기에 접어들면 아이들은 여러 가지 상징 놀이를 하기 시작합니다. 커팅 푸드를 잘라서 요리하는 흉내를 내고 그릇에 담아 냠냠 소리를 내며 먹는 척을 합니다. 또 공룡 피겨를 살아있는 것처럼 움직이며 이야기를 만들고, 청진기를 들고 인형을 진찰하는 역할 놀이도 합니다. 

이때 여러 가지 주제의 상상놀이를 할 수 있는지, 부모 및 또래와 함께 상징 놀이를 할 수 있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상징 놀이를 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매일 같이 여러 동물 피겨를 엘리베이터에 태웠다 내리는 놀이만 반복하거나 주차장에 자동차를 세우고 경주하는 놀이만 반복한다면 여러 가지 상징 놀이를 한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또 또래와 같은 공간에 있음에도 함께 어울리지 않고 자기 혼자 하는 놀이만 좋아한다면 사회성 발달 지연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사회적인 놀이

유아기와 학령기에는 사회적인 놀이를 즐겨 합니다. 부모와 함께하는 숨기 놀이부터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동대문을 열어라’와 같이 여럿이 함께하는 놀이에 참여하고 싶어 합니다. 걸음마기에도 형제자매가 하는 것을 보고 어설프게 흉내 내는 모습을 보일 수 있고, 유아기에는 규칙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한 상태에서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여러 명이 함께하는 놀이에 무관심하거나 거부적인 태도를 보일 때도 사회성 발달 문제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규칙이 있는 놀이

유아기와 학령기에는 연령에 맞는 규칙이 있는 게임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보드게임이나 스포츠 활동이 대표적인데, 또래들과 비교했을 때 유난히 규칙을 이해하지 못하고 미숙한 모습을 보인다면 지능 문제를 의심해 봐야 하고, 지나치게 이기적이고 자기중심적인 태도로 일관할 때는 사회성 발달 문제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게임을 하면서 이기고 싶어 하고, 졌을 경우 뾰로통해지는 것은 흔히 있는 일이지만 반복적인 연습에도 규칙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이기고 지는 것에 과도하게 집착한다면 발달 상의 어려움으로 인한 행동일 수 있습니다. 때문에 이러한 규칙 있는 놀이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해 주고, 집 안에서 부모와 함께 연습해 보면서 아이의 행동 변화를 꾸준히 관찰해야 합니다.

ⓒ픽사베이

 

일반적이지 않은 놀이 형태

또래 아이들과 다른 방식으로 놀이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유심히 관찰하고 전문가에게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즉, 연령에 맞는 놀잇감에 흥미가 많지 않은 경우, 놀잇감보다 일상적인 도구들에 관심이 많은 경우, 제 기능이 아닌 방식으로 놀잇감을 갖고 노는 경우가 이에 속합니다. 예를 들면, 놀잇감을 한 줄로 길게 나열하는 놀이에만 심취하는 경우,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굴리거나 손가락으로 끝을 붙잡고 흔들기만 하는 경우 등 반복적이고 상동적인 방식으로 놀이를 하는 것이죠.

놀잇감의 기능에 맞게 놀이하더라도 그것이 지나치게 반복적이어서 다른 놀이에 관심을 보이지 않는 경우도 눈여겨봐야 합니다. 계속해서 비탈길에서 자동차가 내려가는 놀이만 반복하거나 기차를 기찻길 위에서 돌아가는 놀이만 반복하거나 냉장고 문을 열어 물건을 넣고 닫는 놀이만 반복하는 등 여러 가지 놀이를 하지 않고 한 가지 놀이에만 과도하게 몰두하는 것처럼요. 이러한 반복적이고 제한적인 놀이 형태가 문제가 되는 이유는 아이들이 주변 환경을 충분히 탐색할 수 있는 기회가 박탈되기 때문입니다. 상동적이고 반복적인 것에 몰두하느라 다른 사회적 자극에 관심이 없고 참여하지 않는다면 그만큼 발달에 필요한 자극을 받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같은 맥락으로, 반짝거리는 것을 한참 동안 바라보거나 별것 아닌 물건들의 냄새를 맡고, 소리 나는 놀잇감에만 몰두하는 등의 감각적인 것을 추구하는 놀이도 건강한 발달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혹은 손가락으로 독특한 제스처를 취하거나 제자리에서 빙글빙글 도는 것, 몸을 앞뒤로 움직이거나 다리를 같은 방식으로 차는 것 등 상동적인 움직임도 다른 사회적 자극들을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잃게 되는 것이므로 주의 깊게 살펴야 합니다. 

 

아이의 놀이 관찰과 부모의 역할

부모는 아이의 건강한 발달을 확인하기 위해 놀이 양상을 관심 있게 지켜봐야 합니다. 앞서 언급했던 놀이가 잘 관찰되지 않거나 독특한 놀이만 반복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문제의식을 갖고 환경적인 변화를 시도해 주세요.

많은 경우 놀이는 자연스럽게 나타나기 때문에 사실상 환경의 영향이 그리 크지는 않습니다. 그럼에도 집안에 아이가 갖고 놀 수 있는 놀잇감이 전혀 없거나 부모가 지나치게 무관심해 상호작용을 잘 해주지 못했다면, 혹은 또래를 만날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없었다면 변화를 시도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연령에 맞는 적당한 가짓수의 놀잇감을 제공해 주고, 아이의 놀이를 자연스럽게 따라가며 반응해 주세요. 또 되도록이면 연령이 비슷한 아이들과 만날 수 있는 놀이터, 키즈 카페, 교육기관에 함께 가서 편안한 환경에서 또래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줘야 합니다. 이렇게 환경적인 변화를 시도했음에도 진전이 없다면 전문가와 의논해 발달 상의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지, 치료적 개입이 필요한 것은 아닌지 꼭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글 = 선우현정(임상심리전문가/정신건강임상심리사)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일하고 있는 임상심리사입니다. 특히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에 주력하고 있고 이와 관련한 소통을 환영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맨즈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